본문 바로가기
  • 책상 밖 세상을 경험할 수 있는 Playground를 제공하고, 수동적 학습에서 창조의 삶으로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제시합니다.

Computer Vision116

[2025-1] 전윤경-A FOUNDATION MODEL FOR GENERALIZABLE DISEASEDIAGNOSIS IN CHEST X-RAY IMAGES CXRBase: 흉부 X선 이미지(CXR)에 대한 질병 진단의 일반화된 해결책을 제공이미지 기반 자기 지도 학습(SSL) 방법: 데이터를 masking하여 그 마스킹된 부분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학습하는 모델Masked Autoencoders (MAE): ViT와 결합 모델 아키텍처데이터 처리배경을 제외한 이미지의 흉부영역만 유지512*512 해상도( 큐빅 보간법)데이터 증강 기법: random cropping, random horizontal flipping 적용stage 1 (자가 지도 학습(SSL))인코더: ViT-large(24개 트랜스포머 블록)마스크 비율: 0.75멀티헤드 자기 주의(Multihead Self-Attention)와 Multi-layer Perceptron 계층을 포함하여 특성 .. 2025. 5. 9.
[2025-1] 박지원-Encoder-Decoder with Atrous SeparableConvolution for Semantic Image Segmentation 1. Introduction : Semantic Segmentation의 발전과 DeepLabv3+의 등장방법론장점단점Spatial Pyramid Pooling다양한 스케일의 문맥 정보 인코딩객체 경계 세부 정보 부족Encoder-Decoder날카로운 객체 경계 포착다양한 스케일 정보 인코딩 부족 Semantic Segmentation이란 이미지의 모든 픽셀에 의미론적 레이블을 할당하는 방법론으로, FCN(Fully Convolutional Network)모델이 현저한 성능 향상을 보인 바 있다. 이 FCNs은 spatial pyramid pooling(다양한 비율과 유효 수용 영역을 가진 필터나 풀링 연산을 통해 들어오는 특징을 조사하여 멀티 스케일 문맥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식)과 encoder-de.. 2025. 5. 8.
[2025-1] 김유현 - Least Square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https://arxiv.org/abs/1611.04076 Least Square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Unsupervised learning with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(GANs) has proven hugely successful. Regular GANs hypothesize the discriminator as a classifier with the sigmoid cross entropy loss function. However, we found that this loss function may lead to tarxiv.org 0. Abstract기존 GAN은 Discriminator에서 sigmoid cross-entro.. 2025. 5. 3.
[2025-1] 최민서 - Maximum Likelihood Training of Score-Based Diffusion Models [논문링크] https://arxiv.org/abs/2101.09258 Maximum Likelihood Training of Score-Based Diffusion ModelsScore-based diffusion models synthesize samples by reversing a stochastic process that diffuses data to noise, and are trained by minimizing a weighted combination of score matching losses. The log-likelihood of score-based diffusion models can be tractablarxiv.org [Score-based diffusion models 논문리.. 2025. 5. 2.